S&P500 환헤지 etf 를 찾고 계신가요? 이 글을 통해 환헤지 미국 etf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국내에 상장된 s&p500 etf 환헤지 상품 7가지를 소개 해드리겠습니다.
참고로 바로 아래 링크를 통해 환헤지란 무엇인지 환헤지 개념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S&P500 환헤지 ETF 7가지
이 글에서는 s&p 500 환헤지 etf 7가지를 비교한 후 어떤 etf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국내에 상장되어 있는 s&p500 환헤지 etf는 아래 7 가지와 같습니다. 시가총액이 가장 큰 타이거 미국 s&p500 선물부터 가장 시가 총액이 낮은 kosef s&p500 etf 까지 순서대로 나열하였습니다.
ETF 명 | 운용보수 | 시가총액 | 3개월 수익률 | 분배율 |
---|---|---|---|---|
TIGER 미국 S&P500선물(H) | 0.4218% | 2,722억 | 7.91% | X |
KODEX 미국S&P500선물(H) | 0.2219% | 1,454억 | 8.23% | X |
TIGER 미국S&P500TR(H) | 0.5232% | 1,354억 | 8.15% | X |
ARIRANG 미국 S&P500(H) | 0.5326% | 616억 | 8.00% | 1.18% |
KODEX 미국 S&P500(H) | 0.4027% | 245억 | 7.83% | 0.72% |
KBSTAR 미국S&P500(H) | 0.1930% | 183억 | 7.96% | 0.38% |
KOSEF 미국S&P500(H) | 0.4619% | 93억 | 8.04% | 0.22% |
크게 네 가지 기준으로 비교를 해볼 건데요. 첫 번째는 운용 보수, 두 번째는 시가총액, 세 번째는 3개월 수익률, 네 번째는 분배율입니다. 각 부분을 비교해본 후 어떤 etf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은지 확인해보겠습니다.
1.운용보수
- kbstar < kodex선물 < kodex < tiger 선물 < kosef < tiger < arirang
첫 번째 비교 기준은 운용보수입니다. s&p500 환헤지 etf 중 운용 보수가 가장 낮은 etf는 kbstar입니다.
사실 환헤지 상품의 경우 기본적으로 운용 보수가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왜냐하면 운용사가 추가로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성을 없애는 수고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운용사가 수고를 한 대가로 더 많은 운용보수를 내야 합니다.
kbstar 미국 s&p500의 경우 운용 보수가 0.193%로 압도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른 s&p500 환헤지 etf의 경우 운용보수가 보통 0.4~0.5%대인데요. kbstar는 0.1%대로 매우 낮습니다.
따라서 운용 보수를 고려한다면 kbstar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2.시가총액
- tiger선물 > kodex선물 > tiger > arirang > kodex > kbstar > kosef
두 번째 s&p500 환헤지 etf 비교 기준은 시가총액입니다. 시가총액이 큰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위 순서와 같은데요.
타이거 선물 etf의 시가총액이 2722억 원으로 가장 큽니다. 그리고 키움자산운용에서 출시한 kosef 미국 s&p500의 시가총액이 93억 원으로 가장 작습니다.
시가 총액이 클수록 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즉, 안전성이 높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시가 총액이 큰 etf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죠.
하지만 타이거 etf의 경우 운용보수가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는 kbstar etf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3.3개월 수익률
세 번째 비교 기준은 3개월 수익률입니다. 위 etf들의 경우 같은 미국 s&p500 etf를 추종하고 있고, 환헤지 기능도 모두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익률 7%후반~8%대로 다 비슷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분배율
네 번째 비교 기준은 분배율입니다. 즉 분배금을 얼마나 지급하는가 비교를 해보는 건데요. 주식에서의 배당금이 etf에서의 분배금과 같은 것입니다.
참고로 선물 상품과 TR 상품의 경우에는 분배금이 없습니다. TIGER 미국S&P500TR(H)이 TR 상품에 해당됩니다. TR 상품이란 재투자 상품인데요. 분배금을 투자자에게 바로 지급하지 않고 해당 etf에 바로 재투자함으로써 수익성을 더 높일 수 있는 etf 입니다.
분배율이 가장 높은 etf는 아리랑입니다. 아리랑은 1.18%의 분배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다만 나머지 환헤지 etf의 경우 분배율이 1%가 되지 않는 등 매우 낮은 분배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분배율을 기준으로 etf를 선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 같습니다.
S&P500 환헤지 ETF 추천
- KBSTAR 미국S&P500(H)
결론입니다.
그럼 s&p500 환헤지 etf 중 어느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요? 결론적으로는 운용 보수가 가장 낮은 kbstar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운용보수가 가장 낮을 뿐만 아니라 타 etf에 비해 압도적으로 운용 보수가 낮기 때문입니다.
만약 시가총액이 크지 않은 것이 불안하다면 코덱스 미국 s&p500 선물 환헤지 etf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시가총액이 2위로 큰 편이면서 운용 보수도 0.2219%로 낮은 편이기 때문입니다.
선물 etf는 뭘까?
- TIGER 미국 S&P500선물(H): 선물 etf
- TIGER 미국S&P500TR(H): 현물 etf
이 글에서 알아본 7개 etf 중 etf명 끝에 ‘선물’이라고 붙어 있는 상품이 있습니다. 그냥 미국 S&P500 ETF 도 있고 미국 S&P500선물 ETF도 있는데요 대체 ‘선물’이라는 단어가 붙어 있는 etf와 그냥 etf는 무슨 차이가 있는걸까요?
선물 상품은 레버리지가 가능하고, 현물 ETF로 만들 수 없는 다양한 상품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때문에 일반 현물 etf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선물 etf가 추가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레버리지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 현물 etf가 없는 경우에 선물 etf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단, 선물 etf에 투자할 경우 롤오버 비용이라는 것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물 etf 선물 etf 차이에 관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자세히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국내 etf 사이트 소개
- etfcheck 사이트
참고로 etfcheck라는 사이트에서 국내 etf에 관한 매우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교해보고 싶은 etf가 있다면 아래 링크의 사이트에서 직접 etf 비교를 해볼 수도 있습니다.
*이 글은 투자 권유 글이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습니다.
<결론>
- S&P500 환헤지 ETF 추천 → KBSTAR 미국S&P500(H)
KBSTAR 미국S&P500(H)가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운용보수가 가장 압도적으로 낮았기 때문입니다.
단, 시가총액이 큰 etf를 선택하고 싶다면 운용보수가 2번째로 낮은 KODEX 미국S&P500선물(H)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 S&P500 환헤지 ETF 7가지 비교 및 추천에 관한 글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