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주 뜻 용어 정리 | 위험성 3가지

공모주 뜻이 궁금하신가요? 공모주 뜻은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면 1분만에 공모주란 무엇인지 알게 될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공모주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공모주와 관련된 용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것입니다. 또 공모주 위험성 3가지를 알아보고 공모주 투자 시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공모주 뜻

공모주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처음 기업이 세워질 때는 기업의 규모가 작습니다. 하지만 기업의 규모가 점점 커지면 사업 확장 등을 위해 더 많은 투자자금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기업은 투자자금을 확보 하고자 하는데요. 이 때 기업은 기업 자신의 지분을 수백, 수만 개로 쪼개서 주식이라는 것으로 만듭니다. 그리고 새롭게 만든 이 주식을 공모주라고 합니다.

기업은 공모주를 투자자들에게 배정하기 위해서 공모주 청약 신청을 받습니다. 그리고 투자자들은 공모주 청약 신청을 한 후 공모주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모주에서 청약 신청이라는 것을 하는 이유는 경쟁률이 치열하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청약 경쟁률이 치열한 이유도 이후 해당 부동산의 가격이 오를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인기 있는 기업은 상장 된 후 주가가 오를 것이라 판단하는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또 공모가 자체가 주가에 비해 저렴하게 책정됩니다.

이러한 점들로 인해 경쟁률이 치열합니다. 때문에 공모주 청약이라는 것을 통해서 공모주를 배정할 사람을 정하는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기업은 자신들 기업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고(공시) 기업의 지분을 일부 나눠 주는 대신(공모주 제공) 투자 자금(공모가 × 주식 수)을 투자자들로부터 받습니다.

  • 공모주 뜻은 ‘(기업의 새 주식을 살 투자자들을) 개적으로 집 합니다!’ 와 같은 의미입니다.
  • 공모가는 원래 주가에 비해 훨씬 저렴합니다. 때문에 대부분 상장 이후 공모가 대비 주가가 크게 상승합니다. 따라서 공모주 청약 경쟁률이 매우 치열합니다.


공모주 용어 정리

공모주 뜻을 알아봤으니 이제 공모주 투자 시 반드시 알아야 하는 용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시초가

시초가란 9시 주식 시장 문이 열리는 순간 최초로 거래되는 가격을 말합니다. 시초가는 공모가의 90~200% 사이로 형성됩니다. 즉, 시초가는 공모가보다 더 높게 형성될 확률이 높습니다.

따상

따상이란 시초가가 공모가의 2배로 형성된 이후 최대 가격제한폭인 30%까지 추가로 상승해서 장이 마감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2배 상승+30% 상승을 따상이라고 합니다.

따따상(=따상상)

따따상(=따상상)이란 따상을 한 종목이 다음 날 또 최대 가격 제한 폭인 30%까지 추가 상승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2배 상승+30%상승+30%상승을 따따상이라고 합니다.

증거금

증거금이란 공모주를 받기 위해 미리 내는 계약금 같은 것입니다. 증거금률은 공모주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증거금률은 50%입니다. 예시로 공모가가 10,000원이면 5,000원의 돈을 증권사 계좌에 넣어둬야 합니다.

기관 경쟁률

일반인을 대상으로 공모주 청약을 진행하기 전 먼저 기관을 대상으로 공모주 청약을 받습니다. 기관들 간의 청약 경쟁률을 기관 경쟁률이라고 합니다.

기관 경쟁률이 높다는 것은 기관들이 해당 공모주를 좋게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기관 경쟁률은 공모주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기관경쟁률이 1000:1 이상인 공모주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무보유확약비율

의무보유확약비율이란 기관이 해당 공모주를 정해진 기간 동안 절대로 팔지 않겠다고 약속한 비율을 말합니다. 의무보유확약비율이 높을수록 해당 공모주를 좋게 보는 기관들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보통 의무보유확약비율이 30% 이상이면 높다고 보며, 10% 이상인 공모주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확정공모가

확정공모가란 기관들의 가격 제시를 통해 확정된 공모가입니다. 해당 공모주 회사는 아래 사진의 공모가격 21,000원~24,000원처럼 밴드 형식으로 정해놓습니다. 그리고 기관들이 제시한 가격을 토대로 확정공모가를 정합니다.

확정공모가 예시

확정공모가가 밴드의 상단에 있을수록 기관이 해당 기업을 좋게 본다는 의미입니다. 위 예시의 경우 확정공모가가 26,000원이므로 밴드 상단(24,000원)을 초과하였습니다. 즉, 기관들이 해당 공모주를 매우 좋게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경쟁률

청약경쟁률이 높을수록 해당 공모주를 좋게 보는 투자자들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아래 사진 예시의 경우 경쟁률이 1568.04:1입니다. 상당히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센세뷰 공모주 경쟁률


균등배정 비례배정 추가납입

공모주 배정 방법 2가지: 균등배정 비례배정

공모주를 배정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균등배정과 비례배정입니다. 일반 투자자의 경우 자동으로 균등배정:비례배정=50%:50% 비율로 배정이 됩니다.

예를 들어 알아볼게요. 뷰티스킨이라는 공모주의 경우 우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되는 공모주 개수가 110,000주로 전체 440,000주의 공모주 중 25%의 비율입니다.

뷰티스킨 공모주식수 및 배정 비율

그리고 일반청약자의 110,000주는 다시 각각 균등배정 55,000주, 비례배정 55,000주로 배정됩니다.

균등배정 뜻

여기서 균등배정이란 균등배정 물량 55,000주를 청약 신청 전체 계좌 수로 나누어 물량을 배정하는 방식입니다. 균등배정 방식의 경우 최소 청약 가능 주수인 10주 이상만 청약 신청을 하면 최소 0~1주는 받을 수 있습니다. (최소 청약 가능 주수가 10주가 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청약 신청 전체 계좌 수(=청약 신청 건수)가 35,000개이고, 공모주 물량이 55,000주입니다. 이 경우 신청 계좌 1개 당 최소 1~2주의 공모주를 배정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청약 신청 전체 계좌 수가 65,000개이고, 공모주 물량이 55,000주라면 랜덤으로 신청 계좌 1개 당 0주 또는 1주의 공모주를 배정 받게 됩니다.

즉, 균등배정 방식의 경우 계좌 단위로 물량이 배정되므로 아무리 주식 청약을 많이 넣어도 더 많은 물량을 배정 받을 수 없습니다.

추가납입 뜻

확정공모가가 10,000원인 공모주에 10주의 청약 신청을 해서 총 50,000원의 증거금을 납입했습니다. 근데 균등배정 방식으로 총 6주의 물량을 배정받았습니다.

그럼 총 60,000원을 내야 하는데요. 증거금으로 50,000원을 냈으니 10,000원을 추가납입해야 합니다. 이 경우에 추가납입이라는 용어가 사용됩니다.

비례배정 뜻

비례배정이란 비례배정 물량 55,000주를 청약 신청 주식 수로 나누어 물량을 배정하는 방식입니다.

예를들어 총 청약 신청 주식 수가 55,000,000개이고, 공모주 물량이 55,000개인 경우 경쟁률은 1000:1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 비례배정 방식으로 물량을 받으려면 최소 1,000개의 주식 청약을 넣어야 1개의 공모주를 받을 수 있습니다.

확정공모가가 10,000원이라면 1,000만 원의 증거금율 50%인 500만 원을 증거금으로 입금해야 합니다. 다시말해 500만 원을 넣으면 1개의 공모주를 받을 수 있습니다.

큰 자금이 있지 않은 이상 비례배정으로 물량을 받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비례배정 : 균등배정 = 50 : 50

공모주 청약 시 비례배정, 균등배정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이 2가지 배정방식이 자동으로 50:50으로 적용되어 배정 됩니다.

예를들어 청약경쟁률이 1000:1인 공모주의 경우 비례배정 방식대로라면 최소 1000주의 청약은 넣어야 공모주를 1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100주를 넣든, 10주를 넣든 비례배정에는 적용이 안되며, 균등배정을 통해 0~1주만 받을 수 있습니다. 즉, 1000주 이상 청약을 넣는 것이 아니라면 10주~999주까지는 똑같이 0~1주의 공모주를 받는 것이죠.

따라서 균등배정만 노리는 경우라면 10주만 청약을 넣으면 됩니다.


공모주 위험성 3가지

공모주 위험성 및 공모주 단점 3가지를 확인해보겠습니다.

1.반드시 상승하는 건 아니다

아래 사진은 SK아이이테크놀로지 상장 시기인 2021년 5월 주가 그래프입니다. 보시면 상장 당일 시초가가 공모가의 2배로 형성되었다가 이후 계속해서 주가가 하락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 주가 그래프

공모주에 투자하면 거의 대부분의 경우 수익을 낼 수 있다고 말하는데요. 실제로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경우 상장 직전 청약증거금 최고기록을 세우는 등 사람들의 큰 관심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따라서 공모주 투자 시 언제든 예측과 다르게 좋지 못한 성과를 낼 수도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2.상장 이후 지속적인 주가 하락

아래 사진의 기업은 모두 2021년 상장 된 기업들입니다. 처음에는 주가가 상승하는 듯 하다가 장기적으로 주가가 꾸준히 하락하고 있습니다.

공모주 주가 하락 예시

정말 좋은 기업이 아니라면 공모주에 장기간 투자할 경우 오히려 수익률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 통계를 보면 상장 당일 시초가에 파는 것이 단기 투자 시 가장 높은 수익을 낼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기업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신뢰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공모주 장기투자는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3.대출 이용

공모주 투자 시 대부분의 경우 큰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인해 일부 대출까지 이용하며 공모주 청약을 넣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출에는 이자가 발생합니다. 청약 시 억 단위의 큰 금액이 아닌 경우 배정 받을 수 있는 물량이 많지 않습니다. 다시말해 공모주 청약으로 얻을 수 있는 수익보다 대출로 인해 내야 하는 이자가 더 많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절대로 무리해서 투자를 해서는 안됩니다.


<결론>

  • 공모주
    • 공모주 뜻? 기업이 자금 조달을 위해 주식 시장에 상장할 때 만든 새 주식.
  • 공모주 청약이란?
    • 기업이 만든 새 주식을 받기 위해서 신청을 하는 것.
  • 공모주 관련 용어
    • 시초가, 따상, 따따상, 증거금, 기관 경쟁률, 의무보유확약비율, 확정공모가, 경쟁률, 균등배정 비례배정
  • 공모주 위험성
    • 하락할 가능성, 상장 이후 주가 하락, 대출 이용

이상 공모주 뜻, 공모주 용어 정리 및 위험성에 관한 글이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