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펀드 IRP 차이 6가지

연금저축펀드 IRP 차이가 뭔지 많이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차이 6가지를 정확하게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IRP 둘다 가입을 해도 되는지, 세액공제 한도는 어떻게 되는지 정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연금저축펀드 IRP 차이 6가지

구분연금저축펀드IRP
가입대상소득없는 학생, 주부,
대학생 등도 가입 가능
소득있는 경우
또는 퇴직금 받은 경우 가입 가능
세액공제 한도연 600만 원연 900만 원
투자 가능 상품-투자 가능 상품이 적은 편
: 펀드, 국내 ETF 등
-투자 가능 상품이 많은 편
: 펀드, 국내 ETF, 리츠,
예금, 적금, 채권, 리츠, ELS 등
위험자산
투자 비율
100%70%
수수료XO
(하지만 수수료 무료 증권사 많음)
중도 인출가능불가능

연금저축펀드 IRP 차이 6가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각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연금저축펀드 IRP 차이
    1. 가입대상
    2. 세액공제 한도
    3. 투자 가능 상품
    4. 위험자산 투자 비율
    5. 수수료
    6. 중도 인출

연금저축펀드 IRP 차이 1.가입 대상

  • 연금저축펀드: 제한 없음
  • IRP: 소득이 있는 사람 또는 퇴직금을 받아야 하는 사람

연금저축펀드는 소득이 없는 사람이더라도 누구나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IRP는 소득이 있는 사람이거나 퇴직금을 받아야 하는 사람인 경우에만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IRP 차이 2.세액공제 한도

  • 연금저축펀드: 600만 원
  • IRP: 900만 원
  • 연금저축 IRP 둘다 합쳐서: 900만 원

연금저축 irp 세액공제 한도를 알아보겠습니다.

연금저축펀드 계좌만 만들었다면 연말정산 때 납입금액의 연 6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IRP 계좌만 만들었다면 연말정산 때 납입금액의 연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연금저축 IRP 둘다 만든 경우라면 합쳐서 연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연금저축펀드가 위험자산에 더 많이 투자할 수 있고, 중도 인출도 가능해서 연금저축펀드를 먼저 활용하기를 권유드리는데요.

이 경우 연금저축 600 IRP 300만 원을 넣으면 세액공제 한도 900만 원을 딱 맞출 수 있게 됩니다.


연금저축펀드 IRP 차이 3.투자 가능 상품 종류

구분연금저축펀드IRP
투자 O펀드, ETF 등
-선물 ETF 가능
-리츠 ETF 가능
원금보장형상품, 리츠, 펀드, ETF 등
투자 X-레버리지, 인버스 등 파생 ETF
-국내외 개별 주식
-개별 채권
-상장 리츠
-레버리지, 인버스 등 파생 ETF
-국내외 개별 주식
-개별 채권
-선물 ETF

연금저축 퇴직연금 차이 2번째는 투자 가능한 상품 종류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연금저축펀드와 IRP 모두 펀드, ETF에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연금저축펀드보다 IRP에서 투자할 수 있는 자산 종류가 조금 더 많은 편입니다. IRP의 경우 펀드, ETF뿐만 아니라 리츠, 원금보장형상품 투자도 가능합니다.

참고로 선물 ETF의 경우 연금저축펀드에서는 투자가 가능한데 비해 IRP에서는 투자가 불가합니다.

또 상장 리츠의 경우 IRP에서는 투자가 가능한데 비해 연금저축펀드에서는 투자가 안 됩니다. 따라서 연금저축펀드에서 리츠 투자를 하고 싶다면 상장 리츠가 아닌 리츠 ETF 투자를 해야 합니다.


연금저축펀드 IRP 차이 4.위험자산 투자 비율

  • 연금저축펀드: 100%
  • IRP: 70%

IRP의 경우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비중이 70%로 낮습니다. 위험자산이란 주식 비중이 40% 이상인 ETF나 펀드를 말합니다.

그에 비해 연금저축펀드는 위험자산에 100% 투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금저축펀드를 먼저 활용해야합니다.


연금저축펀드 IRP 차이 5.수수료

  • 연금저축펀드: 수수료 없음
  • IRP: 수수료 부과

연금저축펀드의 경우 수수료가 없습니다. 그에 비해 IRP는 증권사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증권사에서 비대면으로 IRP계좌를 개설하는 경우 대부분 수수료 무료 혜택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수수료가 무료인 증권사에서 IRP계좌를 개설하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수수료 무료인 증권사 8곳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IRP 차이 6.중도 인출

  • 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 안 받은 원금은 중도 인출 가능
  • IRP: 중도인출 불가, 중도 인출하면 계좌가 해지됨

연금저축펀드의 경우 세액공제 받지 않은 원금에 한해 납입한 금액을 중도 인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IRP는 중도인출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IRP에서 중도인출을 할 경우 계좌가 해지되어 버립니다.


연금저축펀드 IRP 공통점

1.납입 한도

  • 연금저축펀드, IRP 합쳐서 연 1,800만 원까지 납입 가능

2.연금수령 조건

  • 만 55세 이후 수령 가능
  • 가입 기간 5년 이상


연금저축펀드 IRP 둘다 가입해도 될까?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둘다 가입을 해도 됩니다. 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 한도가 600만 원입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연금저축펀드를 개설해서 연간 600만 원 한도까지 납입을 합니다.

그리고나서 여유자금이 있다면 IRP 계좌도 개설해서 연간 300만 원까지 납입을 합니다.

왜냐하면 연금저축펀드와 IRP 계좌를 합쳐서 연 900만 원까지만 세액공제 혜택을 해주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IRP 계좌만 개설하면 IRP계좌 하나로 납입금액 연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귀찮게 연금저축펀드까지 만들어서 납입을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 연금저축펀드 + IRP 동시에 만드는 게 유리한 이유
    • 연금저축펀드는 중도해지가 가능함.
    • 연금저축펀드는 위험자산에 100% 투자할 수 있음.

위 2가지 이유로 인해서 연금저축펀드에 600만 원을 먼저 넣는 것이 더 좋습니다.

다만 여유자금이 충분한 경우에 한해 납입을 해야 합니다. 여유자금이 없다면 납입금액을 자신의 자금 상황에 맞춰서 조절해야 하죠.

참고로 개인 자금 상황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연금저축 IRP ISA 순서가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해당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결론>

  1. 연금저축펀드에서 세액공제 한도 600만 원을 채운다.
  2. → 그래도 여유자금이 남으면
  3. → IRP에서 나머지 세액공제 한도 300만 원을 채운다
  4. → 그래도 여유자금이 남으면
  5. → 연금저축펀드와 IRP 납입한도 1,800만 원을 다 채운다.(=900만 원을 연금저축 또는 IRP에 추가로 납입한다)

이상 연금저축펀드 IRP 차이 6가지에 관한 글이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