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G 주식용어 뜻 | 주식 성장률 계산하기

PEG 주식용어 뜻을 찾고 계신가요? 이 글에서는 주식 성장률 계산 을 위해 사용 되는 주식 용어인 PEG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지금 바로 아래에서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을 모두 고려한 피터린치의 PEG 에 관해 알아보세요!


PER 단점

PER 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PER는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현재 그 기업의 순이익(기업이 벌거 있는 돈)에 비해 주가가 비싼지, 저렴한지 알려줍니다. 만약 기업이 벌고 있는 이익에 비해 주가가 더 비싸다면 PER가 높아질 거고요. 그 결과 PER는 높아집니다. 그래서 PER가 높을 때 우리는 주식이 고평가 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근데 PER는 주가 나누기 순이익입니다. 여기서 하고 싶은 말은 기업의 순이익만 보고 기업이 고평가되어 있는지, 저평가 되어있는지 확인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 기업의 PER가 50, B 기업의 PER가 100이라면 어떤 기업을 사는 게 좋을까요? 정답은 A 기업입니다. 물론 다른 요소도 다 종합적으로 봐야하지만 다른게 다 동일하다고 가정한다면 A 기업을 선택하는게 더 좋습니다. A 기업이 더 저평가 되어 있으니까요. 

근데 B 기업의 순이익이 A 기업보다 더 증가할 예정이라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A 기업의 주당순이익 증가율(EPS 증가율)이 50% 이고, B 기업의 주당순이익 증가율이 200% 입니다. 

기업의 수익성 + 성장성을 함께 확인 할 수 있는 지표로 PEG가 있습니다. PEG는 PER을 EPS 증가율로 나눈 값인데요. 위 예시의 PER과 EPS 증가율 값을 대입해보겠습니다. 그럼 A 기업의 PEG는 1이 되고요. B 기업의 PEG는 0.5가 됩니다. 

PEG 를 만든 사람인 피터린치는 PEG가 0.5 아래면 매수를 고려해보라고 했습니다. 

즉, 위 예시에서 A 기업은 PER가 50, PEG가 1입니다. 그리고 B 기업은 PER가 100, PEG가 0.5 입니다. 

투자하려고 기업 분석을 하는데 PER 만 봤었다면 당연히 A 기업을 샀을 겁니다. 하지만 PEG까지 본다면 당연히 B 기업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지금 당장은 A 기업 수익성 대비 주가가 더 낮아보이는데요. 1년, 3년, 5년… 시간이 지나고 보면 성장을 더 많이 하게 될 B 기업이 투자자 관점에서 수익을 더 많이 낼 수 있는 것이죠.

때문에 PER만 본다면 기업의 성장성은 전혀 고려하지 못하게 됩니다.

실제로 아래 애플, 엔비디아 PER(=Forward P/E) 을 보면 애플이 더 저평가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PEG를 보면 엔비디아가 1.27로 애플 PEG인 2.25보다 더 낮습니다. 즉, 이 말은 애플보다 엔비디아의 성장성 대비 주가가 더 저렴 하다는 의미입니다.

애플 및 엔비디아 PEG 확인하기 사진

수익성만 보면 애플에 투자하는 게 맞지만, 수익성에 성장성까지 고려한다면 엔비디아에 투자하는 게 더 적합한 것이죠.



PEG 주식용어 뜻

PEG 주식용어 뜻 을 알아보겠습니다.

PEG는 P/E to Growth Ratio 의 약자로, PER 가 성장률 대비 높은지, 낮은지 알려주는 지표 입니다. 쉽게 말해 PEG가 높으면 성장성이 낮은 것이고요. PEG가 낮으면 성장성이 높은 것입니다.

그래서 피터린치에 따르면 PEG가 0.5 하일 때 매수, 1.5 이상일 때 매도를 하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PEG 계산 방법

PEG = PER ÷ EPS 증가율 입니다. 그리고 PER = 주가 ÷ EPS 이며, EPS 증가율 = (이전 EPS – 현재 EPS) ÷ 이전 EPS 입니다. 

이 때 EPS 증가율은 아래 3가지 방법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1. 과거 5년 간의 EPS 평균 성장률
  2. 향후 5년 간의 EPS 평균 성장률
  3. 향후 7년 간의 EPS 평균 성장률

이 중 2번 향후 5년간의 EPS 평균 성장률을 보는 것을 가장 추천드립니다. 

PER는 주가와 현재 EPS만 대입해서 구할 수 있는데요.

EPS 평균 성장률은 구하기가 꽤 까다롭습니다. 직접 계산기로 구하는 것보다 엑셀 RATE 함수를 이용해서 EPS 성장률을 구하면 정확하고 간편합니다. 

아래 엑셀 파일로 들어간 후 연도 별로 EPS만 입력하시면 바로 EPS 평균 성장률이 나옵니다.


이후 PEG 계산식에 PER과 EPS 성장률을 대입해서 계산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삼성전자 PEG를 계산한다고 해보겠습니다. 삼성전자 2023년 PER은 34.21 입니다. 그리고 EPS 증가율을 엑셀을 통해 계산해보면 34%가 나옵니다. 따라서 삼성전자 PEG는 34.21 ÷ 34 = 1.0061… 이 됩니다. PEG 가 0.5 아래인 기업이 매수하기 좋은 기업이라고 했으니 매수하기 적합해 보이진 않습니다. 하지만 성장성 대비 주가가 고평가 되어 있지는 않은 상태입니다.

참고로 PER 는 아래 컴퍼니 와이즈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향후 3년 EPS 는 아래 사이트의 컨센서스 메뉴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컴퍼니 와이즈 사이트 바로가기

애플 PER, PEG


다만 한국 주식만 이렇게 계산하면 되고요. 해외 주식의 경우 야후 파이낸스에서 PEG 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로 들어간 후 Statistics  탭을 누르면 5년 예상 PEG 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해외주식 PEG 보는 곳 사진


정리하자면 PER은 가치주 분석 시 사용하기 적합한 지표이고, PEG는 성장주 분석 시 사용하기 적합한 지표입니다. 

PEG가 0.5 이하면 매수, 1.5 이상이면 매도를 하는 것이 기준입니다. 실무에서는 PEG 0.7 이하면 상당히 저평가 된 기업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같이 보면 좋은 글입니다.
볼린저밴드 보는법, 뜻, 설정 방법
재무제표 분석 예시 | 재무상태표 등
캔들패턴 모음 | 거래량 상승캔들패턴
주식 차트 패턴 정리 | 헤드앤숄더
피보나치 되돌림 설정 및 찍는법

이상 PEG 주식용어 뜻 에 관한 글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