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주식 차이 7가지 | 어디 투자해야될까?

ETF 주식 차이를 명확하게 알고 싶으신가요? 이 글을 통해 주식 ETF 차이 7가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ETF 주식 차이점 7가지 및 공통점 2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또 ETF와 주식 중 어디에 투자를 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은행 ETF 주식 차이

ETF란 여러 개의 주식을 모은 ‘지수’에 투자하는 금융상품입니다. 은행은 수익률이 너무 낮고, 주식은 위험성이 너무 높다고 생각되는 경우 ETF 투자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은행 ETF 주식 차이를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구분은행ETF주식
안전성높음중간낮음
수익성낮음중간높음

가장 안전하게 우리의 돈을 불릴 수 있는 곳은 단연 은행입니다. 은행에 예금, 적금을 넣을 경우 안정적으로 정해진 이자가 나옵니다. 뿐만 아니라 은행 당 5,000만 원까지 보호도 해줍니다. 무위험 투자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은행 이자는 아무리 높아도 4% 내외입니다. 4% 이상인 예적금을 찾기가 매우 어렵죠. 따라서 안전성은 가장 높은데 비해 수익성은 가장 낮습니다.

다음으로 ETF의 경우 안전성과 수익성이 모두 중간 정도입니다. 은행보다는 위험하지만 수익성은 더 좋습니다. ETF는 여러 개의 주식을 모아서 하나의 바구니에 담은 상품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주식 1개에만 투자할 때보다 주식 100개를 담은 바구니 1개에 투자할 때 위험성은 훨씬 줄어들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주식의 경우 안전성이 가장 낮은데 비해 수익성은 가장 좋습니다. 쉽게 말해 좋은 주식 종목을 잘 찾아서 투자하면 대박을 터뜨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종목을 잘못 발굴하면 쪽박을 차게 됩니다.


ETF 주식 차이 7가지

  • ETF 주식 차이 7가지
    1. 운용보수
    2. 분산투자
    3. 상장폐지
    4. 주가 변동성
    5. 투자 가능 대상
    6. 하락기 투자
    7. 연금 계좌 투자

ETF 주식 차이 7가지는 위와 같습니다. 각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TF 주식 차이 1.운용보수

첫 번째 ETF 주식 차이는 운용보수 유무입니다.

  • ETF: 운용보수 있음.
  • 주식: 운용보수 없음.

주식은 운용보수라는 것이 아예 없습니다. 반면 ETF는 운용보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운용보수란 운용사가 ETF를 운용해주는 대가로 투자자가 내야 하는 비용입니다.

다만 직접 운용보수를 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ETF를 거래할 때 운용사가 알아서 운용보수를 떼 갑니다. 따라서 운용보수를 따로 내진 않아도 됩니다.

국내 ETF 운용보수 제대로 보는 법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ETF 주식 차이 2.분산투자

주식 ETF 차이 두 번째는 분산투자 가능 유무입니다.

  • ETF: 분산투자 가능
  • 주식: 분산투자 불가능

ETF는 기본적으로 여러 개의 주식에 분산투자를 하게 됩니다.

예를들어 삼성전자 1개 종목에만 투자할 때는 분산투자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삼성전자 딱 1개 종목에만 투자를 하는 것이니까요.

하지만 ‘KODEX 삼성그룹’ 이라는 ETF에 투자할 경우 삼성전자, 삼성SDI,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전기, 삼성물산 등 삼성그룹과 관련된 다양한 종목에 한 번에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즉, ETF의 경우 다양한 종목에 분산해서 투자할 수 있어 안전성이 더 높습니다.


ETF 주식 차이 3.상장폐지

ETF 주식 차이점 세 번째는 상장폐지입니다.

  • ETF: 상장폐지 시 돈을 돌려 받을 수 있음
  • 주식: 상장폐지 시 돈을 못 돌려 받음

주식 투자 시 가장 무서운 것이 상장폐지입니다. 주식이 상장폐지되면 내 투자 원금을 완전히 다 잃게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ETF의 경우 상장폐지가 되더라도 투자금을 돌려 받을 수 있습니다. ETF은 운용사가 만들어서 판매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ETF 상품 내의 자산은 운용사가 아닌 신탁업자에 보관됩니다.

따라서 ETF가 상장폐지 되는 경우뿐 아니라 ETF를 만든 운용사가 망하는 경우에도 투자한 돈을 돌려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돈을 돌려 받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ETF 상장폐지 결정이 되면 대량 매도 주문이 나오면서 ETF 가격이 크게 하락하게 됩니다. 따라서 어느정도 손실을 입게 됩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거래량과 규모가 큰 ETF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상장폐지 되지 않을만한 ETF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죠.

ETF 상장폐지 조건은 아래 링크를 통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ETF 주식 차이 4.주가 변동성

ETF 주식 다른 점 네 번째는 주가 변동성입니다.

  • ETF: 주가 변동성이 작음
  • 주식: 주가 변동성이 큼

주식의 경우 기본적으로 주가 변동성이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에 비해 ETF는 여러 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ETF 내 1개 종목의 주가가 크게 하락하더라도 ETF 주가는 크게 변하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삼성전자 주가가 하루만에 10% 하락 했다고 해보겠습니다. KODEX삼성그룹 ETF는 삼성전자를 포함해 총 16개의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삼성전자 1개 종목이 10% 하락한다고 하더라도 나머지 15개 종목은 큰 변동이 없습니다. 때문에 ETF가격이 크게 하락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말하자면 삼성전자 주가가 10% 상승할 경우, KODEX삼성그룹 ETF는 크게 상승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주가 변동성이 작아서 주식에 비해 안전성이 높지만, 수익성은 떨어진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ETF 주식 차이 5.투자 가능 대상

차이점 다섯 번째는 투자 가능 대상의 다양성입니다.

  • ETF: 개별 종목 뿐 아니라 금, 채권, 달러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 가능
  • 주식: 개별 종목으로만 구성됨

주식은 하나의 개별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하나의 기업으로 구성이 되어있죠.

반면 ETF는 여러 개의 개별종목에 투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 채권, 달러,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개별 주식에서 투자할 수 없는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다만 ETF는 실물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ETF로 만들기 어려운 경우 ETN이라는 상품으로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ETF ETN 차이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이부분은 심화 내용이므로 넘어가도 됩니다.



ETF 주식 차이 6.하락기 투자

주식 ETF차이 여섯 번째는 하락기 투자 가능 여부입니다.

  • ETF: 하락에 투자할 수 있음
  • 주식: 하락에 투자하는 것이 불가능함(공매도 투자를 해야 함)

기본적으로 주식에 투자를 하는 이유는 주가 상승으로 인한 시세차익을 얻기 위함입니다. 주식이 상승할 때는 수익을 얻지만 하락할 때는 손실이 발생합니다.

그런데 인버스 ETF 라는 상품에 투자를 하면 하락기에도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인버스 ETF란 주가가 역방향일 때 수익을 얻는 ETF를 말합니다.

예를들어 코스피 200 지수가 1% 하락할 때, 코스피 200 지수를 기초지수로 삼는 ‘KODEX 인버스’라는 ETF는 1%가 상승하는 식입니다.

즉, 인버스 ETF에 투자를 할 경우 하락장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게 됩니다.

참고로 주식에서도 주가가 하락할 때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 있긴합니다. 공매도라는 것에 투자를 하는 것인데요. 사실 개인 투자자가 공매도를 통해 수익을 내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공매도 투자보다는 인버스 ETF 투자를 하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공매도에 관심이 있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ETF 주식 차이 7.연금 계좌 투자

ETF, 주식 차이 일곱번 째는 연금 계좌 투자 가능 유무입니다.

  • ETF: 연금 계좌에서 투자 가능
  • 주식: 연금 계좌에서 투자 불가능

연금저축펀드, IRP 계좌의 경우 다양한 세금 혜택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연금계좌를 활용해서 세액공제 혜택도 받고, 노후 대비도 하곤합니다.

그런데 연금저축펀드, IRP 계좌에서는 ETF, 펀드 등에만 투자를 할 수 있으며, 개별 주식에 투자를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연금 계좌에 가입하기 전 ETF 투자만 할 수 있다는 점을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합니다.

IRP, 연금저축펀드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ETF 주식 공통점 2가지

ETF 주식 간의 공통점 2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1.주식 시장에서 거래

ETF 역시 주식과 똑같이 주식 시장에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즉, 주식시장 개장 시간이라면 언제든 내가 원할 때 원하는 수량만큼 ETF를 거래할 수 있습니다.

주식 거래를 하는 것처럼 ETF 거래도 매우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돈이 필요할 때면 언제든 ETF를 매도해서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2.배당

ETF도 주식과 마찬가지로 분배금이 지급됩니다. 물론 배당금이 지급되지 않은 주식이 있는 것처럼 분배금이 없는 ETF도 있습니다. 참고로 주식에서 배당금이라고 불리는 것이 ETF에서는 분배금이라고 불립니다.


ETF 주식 중 어디 투자해야 될까?

지금까지 ETF 주식 차이점을 알아봤는데요. 그렇다면 ETF, 주식 중 어디에 투자하는 것이 좋은지 결론을 내려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투자자의 상황에 따라 투자할 수 있는 곳이 달라집니다.

  • 높은 수익을 원하는 경우 → 주식
  • 안전하게 수익을 내고 싶은 경우 → ETF

주식 투자를 잘 하는 고수에 해당된다면 당연히 주식투자를 해서 수익률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또 높은 수익을 원하는 경우에도 개별 주식에 투자를 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반면 수익을 내고는 싶은데 주식 투자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라면 ETF 투자가 적합합니다.

저의 경우 주식 투자를 하는데 시간을 많이 사용하기가 어려워서 ETF에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ETF의 경우 처음에 약간만 공부를 하면 어디에 투자를 해야 할지 알게 됩니다. 그리고 ETF에 투자하는 경우 매매를 하는 시간 외에는 따로 시간을 낼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시간이 없는 직장인 분이라면 ETF 투자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ETF에 투자해야 할지 고민된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결론>

  • ETF 주식 차이 7가지
    1. 운용보수
    2. 분산투자
    3. 상장폐지
    4. 주가 변동성
    5. 투자 가능 대상
    6. 하락기 투자
    7. 연금 계좌 투자

이상 ETF 주식 차이 7가지에 관한 글이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