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직급 순서 및 직급표를 찾고 계신가요? 직급이 올라 가는 걸 승진이 되었다고 말하는데요. 내가 승진이 되면 어떤 직급으로 올라가는지 궁금하다면 이 글을 꼭 읽어 보세요. 지금 바로 아래에서 회사 직급 순서와 직급표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직급 직책 직무 차이
정확하게 구분하면 직급, 직책, 직무 라는 3가지 용어가 있습니다. 근데 이 3가지 용어가 조금씩 다르게 해석됩니다.
1.직급
직급의 대표적인 예시로 공무원 호봉제를 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9급 1호, 9급 2호 등이 직급이 될 수 있는 것이죠.
또 대리 2년차, 과장 3년차처럼 일반 회사에서도 직급을 사용할 수 있긴 한데요. 대부분의 일반 회사에서는 직급이 아닌 직위를 사용합니다.
2.직위
직위는 사원, 대리, 과장, 차장, 부장 등으로 회사 내부 서열을 나누는 방식입니다.
구체적인 직위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 일반직: 사원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
- 생산 공장: 사원 → 조장 → 반장 → 직장 → 기선 또는 기장 → 공장(공장장)
- 연구소: 연구원 → 주임연구원 → 전임연구원 → 선임연구원 → 책임연구원 → 수석연구원
- 임원직: 이사 → 상무 → 전무 → 부사장 → 사장 → 부회장 → 회장
그럼 승진하는데 얼마의 기간이 걸릴까요? 대기업은 사원에서 임원이 되는데 평균 23년, 중소기업은 평균 20년이 걸립니다.
직급 | 대기업 | 중소기업 |
---|---|---|
사원 → 대리 | 4년 | 4.3년 |
대리 → 과장 | 4.2년 | 3.8년 |
과장 → 차장 | 5.4년 | 4.7년 |
차장 → 부장 | 5.3년 | 4.4년 |
부장 → 임원 | 4.7년 | 3.6년 |
총합 | 23.6년 | 20.8년 |
3.직책
그리고 직책은 내가 그 부서에서 맡은 역할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A 팀의 팀장이라면 팀장이 직책이 되는 거구요. A 팀 팀장이지만 직위는 부장이 될 수도 있고 과장이 될 수도 있는 겁니다. 즉, 부장이지만 그 팀에서 맡은 역할이 바로 직책입니다.
결론적으로 ‘직급’ 은 공무원 호봉제라고 생각하면 편하겠습니다. 그리고 ‘직위’ 는 일반적인 회사에서 대부분 사용하는 회사 내 계급 서열입니다.
회사 직급 순서 및 직급표
회사마다 직급 순서가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대부분의 회사에서 아래와 같이 직급 순서를 나누고 있을 거에요. 우리 회사는 어떤 직급 순서를 채택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추천글 >
이상 회사 직급 순서 및 직급표 에 관한 글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