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커피 한잔 이라도 건강에 나쁜 이유 ?

하루에 커피 한잔 이라도 건강에 나쁜 이유가 있다고 들어본 적 있으시죠? 이 말이 정말 맞는 걸까요? 이 글에서는 커피를 정말 하루에 한 잔이라도 드시지 않아야 되는 사람을 알아 보고요. 커피의 장점, 그리고 하루 권장 섭취 카페인 양까지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 하루에 커피 한잔 이라도 건강에 나쁜 이유 핵심 요약 >

1. 카페인을 적정량 마시면 건강에 도움이 됨.
– 심장 뇌 건강에 도움.
– 기억력 좋아짐
– 치매 및 파킨슨 발병 확률 낮아짐.
– 암 예방에도 도움

2. 아래에 해당되는 사람은 하루 1잔의 커피도 안 드셔야 함.
– 역류성 식도염 있는 분
– 항문 소양증 있는 분
– 카페인에 민감한분
– 불면증 있는 분
– 골다공증 있는 분

3. 과다한 카페인은 일반인이라도 건강에 절대 좋지 않음.


하루에 커피 한잔 이라도 건강에 나쁜 이유 ?

하루에 커피 한잔 이라도 건강에 나쁜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결론적으로 사람에 따라서 하루 커피 한 잔도 나쁠 수도 있고요. 오히려 좋을 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를 지금 바로 아래에서 알아 볼게요.


카페인은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카페인은 일단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1.심장

첫 번째로 심장 건강에 도움이 돼요.

유럽심장학회에 따르면 하루 3잔 이내의 커피를 마신 사람이 아예 커피를 안 마신 사람보다 심장병에 걸릴 확률이 더 낮았다고 합니다.

2.뇌

뇌 건강에도 도움이 되요.

알츠하이머병 저널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했는데요. 커피를 하루에 2잔 이상 마시도록 한 노인 그룹과 아예 안 마시도록 한 노인 그룹 중 커피를 마신 그룹에서 인지장애 비율이 더 낮았다고 합니다.

3.운동능력 향상

세 번째로 운동 능력도 향상됩니다. 운동하기 30분 전에 카페인을 섭취하면 지방 연소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 지구력, 근력이 더 좋아지고, 혈액 순환도 더 잘됩니다.

4.단기 기억력

또 단기 기억력도 향상 되는데요.

하루에 두세 잔 정도의 커피를 마시면 치매 및 파키슨 발병 확률이 낮아지고요. 노화를 늦추며, 기억 손상을 줄여줍니다.

다만 하루에 2잔 이상 20년간 커피를 장기적으로 마신 사람의 대뇌 소혈관 질환 발생 위험성이 더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카페인을 복용하는 건 좋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5.암 발생 위험 감소

다섯 번째로 암 발생 위험을 감소시킵니다. 카페인이 유방암, 결장직장암, 전립선암, 난소암, 위암, 피부암, 췌장암 등의 발생 확률을 낮춘다는 많은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6.대사증후군

여섯 번째로 대사증후군을 예방해 줍니다.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영양조사 임상데이터에 따르면 하루에 커피 3잔 이상을 드신 분이 한 잔도 드시지 않은 분에 비해서 대사증후군이 발생할 확률이 25% 더 낮아졌다고 합니다.

다만 5잔 이상 너무 과도하게 마실 경우 코티솔이 많이 나오면서 오히려 신진대사를 방해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런 사람은 하루 1잔의 커피도 안 드시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아래 6가지에 해당되는 사람이라면 하루 한 잔 커피도 건강에 나쁠 수 있습니다.

1.역류성 식도염

첫 번째는 역류성 식도염이 있는 분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식도와 위 주변부에 염증이 생기는 건데요. 커피를 마실 경우 음식물 역류가 더 심해질 수 있고요. 식도나 위 부근에 자극을 더 많이 일으킬 수 있습니다.

2.항문소양증

두 번째로 항문 소양증이 있는 분입니다.

항문이 가려운 증상을 말하는데요. 커피를 드시면 이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어요.

따라서 항문 소양증이 있는 분은 하루 한잔의 커피도 드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카페인에 민감한 분

세 번째로 카페인에 민감한 분도 커피를 드시지 않아야 합니다.

카페인에 민감하다는 것은 커피를 마셨을 때 손발과 근육이 심하게 떨리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소변이 자주 나오는 증상을 말합니다.

4.불면증

네 번째로 불면증이 있는 분도 드시면 안 됩니다.

분당서울대 병원에서 하루 3잔 이상 20년간 카페인을 복용한 사람에 대한 연구를 진행 했었는데요. 수면 시에 우리 뇌의 송과선에선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나옵니다. 근데 커피를 오래 많이 드신 분의 송과선이 위축 되었다고 합니다. 또 신경 과민 증상도 나타났다고 해요.

따라서 불면증이 있는 분은 카페인을 하루 한 잔도 드시지 않는 게 좋습니다.

5.심뇌혈관

그리고 과다하게 커피를 복용할 경우 관상동맥, 부정맥, 뇌졸중의 발생 확률을 높일 수 있고요. 혈압이 증가하며 뇌혈류도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카페인과 지방을 너무 많이 섭취하게 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커피콩에 들어있는 디페르펜이라는 성분이 지방 성분이죠.

6.골다공증

마지막으로 골다공증이 있는 분도 카페인을 드시지 않아야 됩니다. 커피를 마실 경우 우리 몸속에 있는 칼슘을 물과 함께 체내에서 배출시킵니다. 따라서 뼈가 더 약해지게 되죠.

특히 골다공증이 생긴 어르신이라면 커피를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 적정 카페인 권장량

하루 적정 카페인 권장 섭취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성인의 경우 아메리카노를 하루에 두 잔 정도 드시면 가장 좋을 것 같아요.

  • 성인: 아메리카노 한잔 기준 하루 2~3잔 (카페인 400mg 이하)
    • 여성: 하루 2잔 이내
    • 남성: 하루 3잔 이내


< 추천글 >

믹스커피 카페인 함량 | 부작용 | 하루 권장량

이상 하루에 커피 한잔 이라고 건강에 나쁜 이유 에 관한 글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