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레버리지 ETF | 2배, 3배

은 레버리지 ETF 3가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금 가격이 너무 많이 상승하여 더이상 상승하기 힘든 시점이 오면 실버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때 간접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것이 SLV 입니다. 지금 바로 아래에서 자세한 내용을 알려드릴게요.



< 핵심 요약 >

결론: 1배 SLV 에 투자하자! ( 2배 AGQ 대비 수익률 더 높고, 수수료 더 낮고, 자산규모 더 크기 때문 → 한마디로 모든 게 1배가 더 좋음)

  • 1배: SLV
  • 2배: AGQ
  • 3배: 상장폐지
구분SLV(1배)AGQ(2배)
수수료0.5%0.95%
수익률15.24%9.39%
자산규모19조 7,910억 원7,661억원


은 레버리지 란?

여기서 레버리지란 2배 또는 3배의 수익을 내는 상품을 말합니다.

2배는 가격이 1% 상승할 때 2%의 수익을 내는 상품이고요. 3배는 가격이 1% 상승할 때 3%의 수익을 내는 상품입니다.

당연히 3배로 갈수록 수익률이 높아질 수 있으나 그만큼 위험성도 더 높아집니다. 심지어 실버는 금보다 가격 변동성이 더 크기 때문에 배수가 높아질수록 더 큰 손실을 입게 될 수 있습니다.


실버 ETF 종류

실버 ETF 종류는 크게 아래와 같이 나뉩니다.

이 중 가장 기본적인 실버 ETF(즉, 1배) 는 SLV로 레버리지는 아닙니다. 배수는 들어가지 않았지만 SLV가 제일 낫다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배수상품명수수료자산규모
1배SLV0.5%19조 7,910억 원
2배AGQ0.95%7,661억원
3배USLV → USLVF(ETN): 상장폐지1.65%426억원

2배 상품으로 AGQ가 있습니다. 수수료가 0.95%로 엄청 비쌉니다. 좀 더 수익을 많이 내고자 하는 경우 선택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3배 상품으로 USLV가 있었는데 상장 폐지가 되었습니다. 이후 장외 시장(OTC) 에 USLVF 라는 이름으로 다시 상장이 됐었는데요. 이마저도 현재는 상장 폐지가 된 것 같습니다. 아예 거래가 안 되는 것 같더라고요. 그리고 심지어 ETN 입니다.

3배 실버 ETF는 없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실버 레버리지를 찾는 분이라면 2배인 AGQ에 투자하면 됩니다.


1.1배 SLV

기본 1배 상품부터 상세히 소개하겠습니다.

SLV는 수수료가 0.5%고요. 세계 1위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에서 만든 상품입니다. 실버 ETF 중에서는 규모가 가장 크고 가장 안정성이 높습니다. 다만 모든 실버 금융 상품이 그렇듯 배당금이 없습니다.

구분SLV
배수1배
수수료0.5%
자산규모19조 7,910억 원
최근 1년 수익률(2025.5.9 기준)15.24%
운용사iShares(블랙록)
상장일2006.4.21


2.SIVR

SLV와 똑같지만 운용사가 다른 실버 상품이 있는데요. 바로 SIVR입니다. 수수료가 0.3%로 SLV보다 더 저렴하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구분SLVSIVR
수수료0.5%0.3%
상장일2006.4.212009.7.24
자산규모19조 7,910억 원2조 2,140억 원
최근 1년 수익률15.24%15.37%
운용사iSharesAberdeen Standard Investments

자산 규모는 SLV의 약 10분의 1이지만 수수료가 0.2%p 나 차이가 납니다. 주가 수익률도 거의 똑같다고 보면 됩니다. 근데 수수료 차이가 나면 결국엔 수익률에서도 차이가 나게 됩니다. 따라서 SIVR이 가장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3.실버 2배: AGQ

2배 상품으로 AGQ가 있습니다. 더 큰 수익을 내고자 AGQ에 투자해야겠다 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구분AGQ
배율2배
수수료0.95%
자산규모7,661억원
최근 1년 수익률(2025.5.9 기준)9.39%
운용사ProShares
상장일2008.12.1

AGQ는 수수료가 0.95%로 상당히 높습니다. 반면 자산 규모는 SLV에 비해 월등히 적습니다.

근데 중요한 건 최근 1년 수익률을 보십시오. 9.39%입니다. 아까 1배인 SLV 1년 수익률이 15.24%였는데, 이상하게 2배인 AGQ 수익률이 더 낮습니다.

이건 AGQ의 변동성이 더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즉, 2배 짜리는 오를 때는 더 많이 오르지만, 내릴 땐 더 많이 내립니다. 그래서 결국에는 2배보다는 1배 짜리를 선택하는 게 더 낫습니다.


1배 vs 2배

아래 그래프를 보면 실제로 2배(AGQ 보라색)보다 1배(SLV 캔들)의 수익률이 더 좋아요. 최근에 특히 SLV 수익률이 더 좋습니다.

은 1배 vs 2배

1배가 수수료도 더 낮고, 자산규모도 크고, 수익률도 더 좋으면 2배를 할 이유가 없습니다.

2배, 3배를 하고 싶어서 이 글을 읽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1배를 하십시오. 그게 오히려 장기적으로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 입니다.


변동성이 큰 실버

참고로 실버는 주가 변동성이 정말 큽니다. 따라서 금처럼 장기적으로 모아간다는 개념보다는 트레이딩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조금 더 좋습니다.

예를들어 실버 가격이 전고점을 돌파하는 순간부터 조금씩 분할 매수를 하는 것도 좋아요.

그리고 가격이 피크를 치는 시점 쯤에 분할 매도를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실버의 경우 아래 사진에서 볼 수 있듯 가격이 피크를 치는 시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버 가격 그래프




실물도 좋다

이 글을 보는 분의 대부분은 실버 간접 투자를 생각하고 있을 거에요. 하지만 관점을 조금 다르게 해서 실물 실버바 투자도 한번 고려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가장 안전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물가가 너무 많이 올라서 전세계의 화폐 가치가 완전 종이조각으로 변했다고 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진짜 화폐 라고 부를 수 있는 건 실물인 금 또는 실버밖에 없을 겁니다. 이티에프도 결국에는 종이 돈으로 사고 파는 거니까요.

근데 이러한 현상이 실제로 일어날 수도 있어요. 지금 경제 상황이 상당히 좋지 않구요. 1920년대 대공황과 같은 상황이 다시 올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금융상품을 통해 실버에 투자 하는 게 훨씬 편하고 빠르고 쉬워요. 하지만 저는 이러한 위험성에 대비하여 현재 실물로 실버바를 계속 모으는 중입니다. 여러분도 함께 해보시겠어요? 분명 추후에 나에게 든든한 자산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아래에서 비슷한 추천 글도 함께 확인해 보세요.

은 1g, 1돈, 1oz, 1kg 시세

금 은 순도 표시 단위

은 관련 주식

카테고리 E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