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핏지수 보는곳 을 찾고 계신가요? 이 글에서는 한국 미국 버핏지수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2곳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바로 구루포커스, 롱텀트렌드 라는 사이트인데요. 이 2곳의 사이트에서 실시간 버핏 지수를 확인 해보세요!
버핏지수란?
버핏 지수란 특정 국가의 시가총액이 해당 국가의 경제 규모를 나타내는 국내 총생산에 비해 얼마만큼 저평가 또는 고평가되어 있는지 나타내주는 지표입니다.
버핏이 이 지표를 많이 보고, 좋아한다고 해서 버핏 지수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버핏 지수는 어떤 경제 상황이더라도 해당 국가의 고평가 여부를 정확하게 잘 알려준다고 해서 많은 사람들이 참고하고 있는 지표인데요.
일반적으로 버핏 지수가 70~80% 사이면 어느 정도 저평가 상태다 라고 볼 수 있고요. 버핏 지수가 120%를 넘는다면 해당 국가의 시가총액, 즉 주식시장이 아주 고평가되어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2000년 닷컴 버블 당시 미국 버핏 지수는 140%였고요.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미국 버핏 지수는 130%였습니다. 고평가 구간에 해당되는 120%의 버핏 지수를 훨씬 더 넘는 수치인 것을 알 수 있죠.
그래서 버핏 치수는 특정 국가의 주가가 고평가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지표 중 하나 입니다.
버핏지수 한계점
다만 버핏 지수의 한계점도 존재합니다. 버핏 지수는 올해의 시가 총액과 지난해의 GDP를 비교합니다. 즉 지난해의 GDP로 계산을 하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버핏 지수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GDP 만 반영을 합니다. 즉 국내 기업이 해외에서 생산한 양은 전혀 고려를 하지 못하는 것이죠. 국내에 수출 기업이 정말 많은데 그러한 기업들의 생산 정도를 전혀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버핏 지수는 분명히 좋은 지표 중 하나이지만, 다른 지표와 함께 봐야 되며 참고용으로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버핏지수 보는곳
버핏 지수 보는 곳은 총 2곳입니다.
버핏지수 보는곳 1.gurufocus.com
첫 번째는 구루포커스라는 사이트인데요. 우선 아래 링크를 통해 구루포커스 사이트에 들어가 주세요.
그 후 상단 메뉴 중 [Market]을 누르고 첫 번째 [Buffett Indicator]을 누르면 됩니다.
그럼 아래 사진처럼 미국 버핏 지수가 그래프로 나옵니다. 오른쪽에 있는 그래프가 버핏 지수이고요. 왼쪽에 있는 표는 현재 미국의 버핏 지수가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이 수치가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지 알려 줍니다.
현재 미국 버핏 지수는 185.1%로 매우 심각한 고평가 상태에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미국 및 한국 버핏 지수를 실시간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버핏지수 보는곳 2.longtermtrends.net
두 번째 버핏 지수 보는 곳 사이트로 롱텀 트렌즈라는 곳이 있습니다.
롱텀 트렌드 미국 버핏 지수 차트는 아래와 같은데요. 아까 위에서 봤던 구루포커스의 버핏지수보다 조금 더 긴 기간으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있습니다.
또 좀 더 명확하고 깔끔하게 차트가 그려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좀 더 간편하게 버핏 지수를 보고 싶다면 롱텀 트렌즈를 이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롱텀 트렌즈 미국 버핏 지수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같이 보면 좋은 글입니다. 저평가 주식 찾는 법 │ 핵심 6가지 PER PBR 뜻 | 차이 완벽 이해 공포탐욕지수란? | 보는법 |
이상 버핏지수 보는곳 에 관한 글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