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및 판매처 등의 정보를 찾고 계신가요? 이 글에서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2가지와 어디서 살 수 있는지, 가격은 얼마인지 등을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기후동행카드란?
기후동행카드란? 65,000원으로 서울 대중교통, 따릉이 무제한 이용 가능한 카드 |
기후 동행카드란 6만 5천 원만 내면 한 달 동안 서울 지역에 있는 모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기후 동행카드는 대중교통 이용자를 늘려서 환경오염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금전적 부담도 줄이고자 만들어졌습니다.
기후동행카드 대상은 따로 없습니다. 서울시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신청 가능합니다. 또 7월 이후 정식 출시가 되면 경기도, 인천 등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기후동행카드 금액
기후동행카드 금액 -서울지역 지하철, 버스: 62,000원 -서울지역 지하철, 버스 + 따릉이: 65,000원 |
기후동행카드는 두 가지 금액으로 나뉘는데요. 버스와 지하철만 이용할 경우 6만 2천 원에 구매가 가능하고요. 버스, 지하철, 따릉이까지 이용한다면 6만 5천 원에 구매가 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출시일
기후동행카드 출시일 -2024년 1월 23일 카드 구매 가능 -2024년 1월 27일 사용 시작 |
6월까지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이 진행 되고요. 7월부터 정식으로 출시가 될 예정입니다. 그래서 지금은 1월 23일부터 카드 구매가 가능하고요. 1월 27일부터 사용을 바로 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사용지역
기후동행카드 사용지역 1.서울 지역 내 지하철 2.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심야버스 포함) 3.따릉이 |
기후 동행 카드 사용 지역은 서울 지역 내의 지하철과 서울 지역 내의 버스입니다. 그리고 따릉이도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지하철 사용 가능 노선은 아래와 같은데요. 다만, 인천 1·2호선, 신분당선, 용인, 의정부, 경강선, 코레일 서울시 시계외 구간은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지하철 사용 가능 노선 1호선: 온수/금천구청~도봉상 2호선: 전구간 3호선: 지축~오금 4호선: 남태령~당고개 5호선: 방화~강일/마천 6호선: 전구간 7호선: 온수~장암 8호선: 전구간 9호선: 전구간 우이신설선: 전구간 신림선: 전구간 공항철도: 김포공항~서울역 경의중앙선: 수색~양원/서울역 경춘선: 청량리~신내 수인분당선: 청량리~복정 |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1)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기후 동행카드는 모바일 카드 또는 실물 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데요. 모바일 카드는 안드로이드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고요. 실물카드는 아이폰의 경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카드 사용 가능 대상: 안드로이드폰 모바일 카드 사용 방법 1.모바일티머니 앱 설치 2.회원가입 3.첫 메인 화면 기후동행카드 선택 4.최초 1번만 계좌 등록 |
안드로인드인 경우 모바일 카드를 사용하려면 우선 모바일 티머니 앱을 설치해 주시고요. 회원 가입 후에 첫 메인 화면의 기후 동행카드를 선택하면 됩니다.
그 후 최초 한 번만 계좌를 등록하면 그 계좌에서 자동 이체가 되어서 충전이 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티머니 어플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2)실물 카드 발급 방법
실물카드 발급 방법도 알아볼게요. 실물카드는 1~8호선 역사 고객안전실에서 3천 원을 내고 구매를 할 수 있습니다.
실물 카드 발급 가능 대상: 아이폰 실물 카드 발급 방법 1.1호선 서울역~청량리역 구간, 2~8호선의 역사 고객안전실에서 구매(3,000원) 2.티머니 사이트에 기후동행카드 등록 3.역사 내 충전단말기에서 현금 충전 4.충전일 포함 5일 내로 사용시작일 지정 후 30일 간 사용 가능 |
카드 구매 후 카드 등록을 해야 하는데요. 아래 티머니 사이트에서 기후동행카드 실물 카드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역사 내의 충전 단말기에서 현금으로만 충전이 가능하고요. 충전일을 포함해서 5일 내로 사용 시작일을 지정하고 30일 동안 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서울시 홈페이지 사이트 링크를 통해 1월 20일부터 카드 판매 편의점 지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이용방법
기후 동행카드 이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지하철, 버스의 경우 타거나 내릴 때 모바일 카드를 단말기에 찍기만 하면 됩니다. 주의할 점은 내릴 때도 반드시 찍어야 한다는 점이고요. 2회 이상 단말기에 찍지 않으면 24시간 동안 사용이 제한됩니다.
기후동행카드 이용방법 지하철, 버스의 경우 모바일 카드를 태그 해서 승하차 하면 됨. 따릉이 이용방법 따릉이의 경우 아래와 같이 이용 가능함. 1.티머니고 앱에 기후동행카드 번호 16자리 입력 2.1시간 이용권 30일 간 무제한 사용 가능 (실물카드 사용자는 실물카드 뒤의 QR코드로 들어가 기후동행카드 회원 가입 해야 함) |
따릉이는 티머니고 앱에 들어가서 기후동행 카드번호 16자리만 입력하면 바로 이용이 가능하고요. 1시간 이용권을 30일 동안 무제한으로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기후동행카드 K-패스 더경기패스 비교
1.한달 교통비 62,000원 이상 → 기후동행카드 선택
2.한달 교통비 62,000원 미만 → 알뜰교통카드 → 5월부터 K패스 사용하기
3.경기도민 + 한달 교통비 31,500원~85,000원 → 경기패스 선택
기후동행카드 7일권 출시
최근 기후 동행 카드 7일권이 출시 되었습니다. 단기로 서울에 여행을 오는 분들도 있잖아요. 이 때 단기 기후동행카드를 발급 받아서 지하철과 버스를 기한 내로 원하는만큼 탈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 1일권 5,000원
- 2일권 8,000원
- 3일권 10,000원
- 5일권 15,000원
- 7일권 20,000원
다만 공공자전거인 따릉이는 이용할 수 없고요. 2024년 10월 쯤에는 수상버스인 ‘리버버스’ 까지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해서 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는 같이 보면 좋은 글입니다. K 패스 카드 발급 방법 | 기존 알뜰교통카드는? |
이상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판매처 가격 등에 관한 글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