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 노령연금 차이 | 중복 수령 가능?

기초연금 노령연금 차이 와 중복 수령 가능 여부를 찾고 계신가요? 이 글에서 기초연금, 노령연금, 기초노령연금, 국민연금 차이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국민연금 받으면 노령연금 못받나요? 하고 걱정하는 분이 계시다면 이 글을 꼭 읽어보세요. 속이 깨운해지는 정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노령연금 차이

기초연금 노령연금 차이

기초연금을 옛날에는 기초노령연금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래서 기초연금과 기초노령연금은 같은 겁니다.

그리고 노령연금은 국민연금을 말하고요. 국민연금이 결국 노령연금과 같은 말입니다.

기초연금은 국민들의 세금으로 지급되는 연금이고요. 노령연금은 내가 젊었을 때 냈던 돈을 연금으로 받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기초연금 노령연금 중복 수령 가능?

결론부터 말하자면 기초연금, 노령연금 중복 수령이 가능합니다.

기초연금은 하위 70% 이하인 어르신께서 받을 수 있는 것이고요. 노령연금, 즉 국민연금은 젊은 시절 국민연금에 가입해서 계속 돈을 냈던 사람이 받을 수 있는 겁니다.

만약 하위 70%이면서, 동시에 젊은 시절에 계속해서 국민연금에 돈을 내고 있었다면 당연히 중복으로 수령이 가능합니다.


기초연금 감액 기준

다만 기초연금이 감액되는 세 가지 기준이 있습니다.

1.부부 감액

  • 부부 동시 수령 시 20% 감액

첫 번째는 부부가 동시에 기초연금을 수령할 때, 20%가 감액된 금액으로 연금을 받게 된다는 것입니다.

2.국민연금 연계 감액

  • 국민연금 월 수령액 501,000원 초과 시 기초연금 감액

두 번째로 국민연금을 수령 하면서 동시에, 기초연금을 받게 되면 기초연금이 감액된다는 것입니다.

다만 국민연금 월 수령액이 50만 1천 원을 넘을 때, 기초연금이 감액됩니다. 기초연금 금액은 최대 50%까지 감액될 수 있죠.

3.소득역전 방지 감액

세 번째로 소득 역전 방지 감액이라는 게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기초연금액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이 80만 원이었다고 해보겠습니다. 나의 소득 인정액은 79만 원이라서 기준 아래이기 때문에 기초연금을 받았습니다. 이때 기초연금을 30만 원 받았다고 해볼게요. 그럼 109만 원 이 매달 들어오게 되는 거죠?

근데 소득 인정액이 81만 원인 사람은 딱 1만 원 차이로 기초연금을 못 받게 되고요. 기초연금을 받은 앞의 사람은 109만 원의 월 수입이 들어오는데 1만 원 차이로 기초연금을 못 받은 사람은 매월 81만 원의 소득만 들어오는 겁니다.

즉 기초연금을 받은 사람의 월 수입이 더 많아지는 거죠.

그럼 너무 불공평하지 않습니까? 그래서 소득 역전 방지 감액이라는 것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계산을 하냐면요. 소득 인정액과 기초연금액을 더한 금액에서 선정 기준액만큼 빼고 지급이 됩니다.

쉽게 말하면 내가 번돈이랑 기초연금으로 받은 돈을 합친 돈에서 기초연금을 받으려면 충족해야 하는 기준금액을 뺀 돈을 받는 겁니다.

  • (소득인정액 + 기초연금액) – 선정기준액 만큼만 지급


<결론>

  • 기초 연금은 하위 70% 아래 소득 어르신이 국민 세금에서 나오는 연금을 받는거구요. 노령 연금은 국민 연금과 같은 말로 젊은 시절 내가 냈던 돈을 연금으로 받게 되는 걸 말합니다.
  • 기초 연금과 노령 연금은 중복 수령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조 해 주세요.
▶︎아래는 같이 보면 좋은 글입니다.
국민연금 수령 조건 | 수령액 높이는 법 4가지
2024 기초연금 수급자격, 금액, 신청방법

이상 기초연금 노령연금 차이 및 중복 수령 여부 등에 관한 글이었습니다.